맨질맨질하고 딱딱한 삶에 대한
전시 «맨질맨질하고 딱딱한 삶에 대한»은 이정자 할머니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기억이 어떻게 육체에 각인되어 있는지를 촉각적이고 조각적인 언어로 탐구한 작업들을 보여준다. 전시에 포함된 작업들은 몸의 감각에 의한 기억, 언어의 학습을 통한 양육자와 피양육자의 관계, 기억의 가변성, 기억에 의해 형성되는 자아와 만질 수있는 것과 만질 수 없는 것에 관한 생각들을 담는다. 연대기가 없는 기억 속의 인물과 조각이라는 몸부대낌을 포착해보려는 시도를 통해, 선명한 자취와 찌꺼기로 존재하지만 포착할 수 없는 사랑의 신비로움을 더듬어 보려했다.
Tactile Recall
The show Tactile Recall presents a body of work exploring how memories are engraved in the body through the tactile language of sculpture, viewed through the lens of the artist’s grandmother, LEE Jungja, who raised her during childhood. The work addresses the question of how to compile a chronicle of a person with unwritten stories, as well as reflections on the parental relationship shaped by domestic language learning, the variability of memories, the material translation of immaterial things, and the tangibility of love.
문서진 개인전 《맨질맨질하고 딱딱한 삶에 대한》
2022. 12. 9. - 12. 25. 레인보우큐브
기획 유은순
그래픽디자인 박채희
설치도움 박선희, 신미지, 이웅철
제작도움 배연미, 신미지, 박선희
움직임리서치 김현진
진행도움 레인보우큐브
주최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후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Sujin Moon Solo Show, Tactile Recall
9. Dec. 2022 - 25. Dec. 2022 Rainbowcube Gallery
Curator Eunsoon Yoo
Design Chaehee Park
Installation Support Seonhee Park, Miji Shin, Woongchul Lee
Production Support Bbaeyeonmi, Miji Shin, Seonhee Park
Movement Research Hyunjin Kim
Exhibition Support Rainbowcube
Organized by ARKO Creative Academy
Sponsored by Arts Council Korea
서문 / 늙음 부재 사랑 - 유은순 Preface: "Aging, Absence, Love" by Eunsoon Yoo)
포스터 및 리플렛 / 디자인 박채희 Poster & Reaflet designed by Chaehee Park
리뷰 / 촉감의 언어를 향한 몸짓 - 노해나 "Motions for the Language of Touch" by Haena No. / “조각의 일” 또는 보이지 않는 것들에 대한 책임 - 이연숙(리타) “The Work of Sculpting or the Responsibility for the Unseen" by Yeonsook Lee (Rita)
전시 관련 링크 / 레인보우큐브 웹사이트 아카이브 (link: website of Rainbowcube Space)
전시 전경 exhibition view (사진: 스튜디오 수직수평 photos taken by Studio SUJIKSUPYUNG)
당신과 나는 여전히 어리고 이미 늙었어
2022, 휘발된 파란색 홈매트 오일, 18×24cm
You and I Are Still Young and Already Old
2022, volatilized blue oil of mosquito reppellent mats 18×24cm
그의 침묵: 그의 말
2022, 종이에 압인, 목재, 가변설치 (177×203×97cm )
<맨질맨질하고 딱딱한 삶에 대한> 전시 전경 (사진: 스튜디오 수직수평)
Her Silence: Spoken Words
2022, letter press on paper, lumbers, variable installation (177×203×97cm)
Exhibition view of Tactile Recall (photo taken by Studio SUJIKSUPYUNG)
'밥 먹어'나 '일어나라'와 같은 생활 속 최소 단위의 말들이 그가 했던 말의 전부라고 기억될 정도로 이정자 할머니는 말수가 없는 사람이었다. 그의 손에서 자란 나에게 그의 말들은 삶에서 필요한 말들의 전부처럼 여겨지기도 하고, 가끔은 내가 하는 말 전부가 그의 몇 안 되는 말로 수렴되는 것 같다고 느낀다.
대화나 이야기 보다는 피부의 질감과 냄새로 기억되는 사람, 서사가 없는 이야기를 기록하는 방식으로서의 조각의 가능성에 주목하여, 이 작업은 책이자 만져질 수 있는 조각으로 만들여졌다. 책에는 빈 종이와 더불어 '밥 먹어', '내가 죽어야지', '제발 좀 일어나라'와 같은 이정자 할머니의 언어습관이 반복적으로 형압 인쇄되어 있다. 관객이 책은 종이를 뒤적거려 넘겨보는 접촉과 탐색의 움직임을 유도하고, 이 접촉과 탐색의 움직임으로 조각은 계속 변화한다.
"Wake up," are almost all I remember. To me, being raised by her hands, her words seemed to encompass all the necessary language in life, and every word I speak could be condensed into the few phrases she uttered.
With the potential of sculpture as a medium to record stories without narratives, particularly those of someone whose memories are more vivid in their bodies and skin than in dialogue or linguistic interactions, this work was created as a book of touchable sculptures. In the book, alongside empty pages, phrases from Lee Jung-ja’s habitual language, like "Eat," "I should die," and "Wake up," are engraved repeatedly. The work invites contact and exploration as the audience sifts through the pages, discovering the words, which evoke a sense of the body. The sculpture continuously changes its form with each movement of contact and exploration.
나는 당신의 딸
2022, 발견된 오브제(나뭇잎), 13×20cm
I Am Your Daughter
2022, found object(leaf) 13×20cm
우리는 모두 실패한 사랑의 로맨틱한 결과가 아닐까
2022, 종이 한장의 계란판 22×21×8cm
All We Are the Romantic Consequence of Failure of Love
2022, a sheet of paper of egg carton, 22×21×8cm
전화번호부
2022, 벽에 알루미늄 활자, 가변설치
Phone Book
2022, letters made with aluminum pieces, variable installation
이정자씨의 전화번호부 수첩에는 몇 년에 혹은 몇 개월에 한 번씩 업데이트 되며 반복적으로 쓰여진 가족 친지들의 이름과 전화번호가 있었다. 글자의 크기와 필치의 변화로 부터 손이 굳어가고 근육에 힘이 빠지는 신체의 노화 과정이 짐작되었고, 그렇게 남겨진 이 유일한 글씨들이 그의 유서처럼 느껴졌다. 이정자 할머니의 전화번호부 수첩에서 따온 글씨들을 양각의 활자로 만들어 더듬어 만질 수 있는 사물로 만들었다. 서로 다른 두 물체의 면면이 만났다가 떨어지고 서로의 몸에 자국을 남기는, 조각적인 순간을 기다리는 사물로써 이 글자들은 또 다른 몸을 기다리고 있다.
In Lee Jeong-ja's phonebook, the names and phone numbers of family and relatives were repeatedly written, updated every few years or months. From the changes in the size and stroke of the letters, one could sense the aging process of the body, with stiffening hands and weakening muscles. These letters, the only ones left behind, felt like her final testament. I transformed the letters taken from Lee Jeong-ja's phonebook into embossed type, turning them into objects that can be touched and felt. These letters, as objects waiting for the sculptural moment when the surfaces of two different things meet and leave marks on each other, are waiting for another body to touch them.
나는 당신의 무덤이야
2022
신던 슬리퍼에 굳은살, 석고, 13×18×45cm
I Am the Place Where You Are Buried
2022
calluses on slipper, plaster13×18×45cm
이미 만져진 사물들- 굳은살이 켜켜이 쌓여있는 슬리퍼 뒤축, 휘발된 홈매트 펄트, 열 개의 계란을 받치기 위해 종이 한장으로 설계된 계란판, 장마철 아스팔트에 납작하게 새겨져 있던 낙엽, 드릴비트에서 뽑힌 자작나무 합판 쪼가리 등의 사물들은 그것의 발생 과정에서 있었던 어떤 조각적인 순간들을 가리킨다. 이 사물들이 조각이라는 몸부대낌에 대한 어떤 물리적 찌꺼기라면, 그리고 자기 이야기를 남기지 않은 사람이 그의 육체로 나의 몸에 각인한 것 또한 그와 비슷한 어떤 것이라면, 결국 우리는 모두 실패한 사랑의 로맨틱한 찌꺼기들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조각이라는 몸부대낌과 살갗의 감각으로 기억되는 인물을 소환하고 포착하려는 일을 통해, 어쩌면 이미 사라진 어떤 것이거나 아직 오지 않아 만질 수 없는 것일지라도, 그것을 세상에 있게 하려는 움직임으로부터 발생한 찌꺼기, 그리고 그 찌꺼기로부터 비로소 신비로워지는 사랑의 존재를 더듬어보고 싶었다.
다음 생에는 친구로 만나요
2022, 재생지, 목재, 가변설치
See You Again as Friends
2022, recycled paper, lumber, variable installation
당신의 슬픔은 무엇이었는지
2022, 발견된 오브제(알루미늄), 3×3cm
What Was Your Sorrow
2022, found object(aluminum), 3×3cm
당신의 행복은 무엇이었는지
2022, 드릴비트에서 뽑은 자작나무 합판 20t 네 장, 2×2×6cm
What Was Your Happiness
2022, four sheets of birch plywood found in drill bit 2×2×6cm
그의 침묵: 죽은 사람과의 대화
2022, 종이에 인쇄, 목재, 가변설치, 75×140×70cm
Her Silence: Dialog with the Dead
print on paper, lumbers, variable installation 75×140×70cm
내가 죽은 이후에는 이정자 할머니의 삶에 대한 기억과 존재가 세상에서 사라지게 될지도 모른다는 안타까워 그의 대한 기억의 장면 장면이 떠오를 때마다 글로 적어두었다. 피부 질감과 냄새, 날 숨의 느낌으로 기억되는 사람, 좋고 싫은 것을 내색 한번 제대로 하지 않았던 이정자 할머니의 침묵을 대신 메워보려는 추측과 짐작들이 그 내용이었다.책은 그렇게 쓰인 조각난 기억들과 그의 주변인들의 증언을 이정자 할머니와의 가상적인 대화 방식으로 재편집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Fearing that the memory and existence of Lee Jeong-ja’s life might disappear from the world after I die, I wrote down scenes of my memories of her whenever they came to mind. These writings captured her skin’s texture, her scent, and the feel of her breath—the person remembered through sensory impressions. They also contained guesses and speculations meant to fill the silence of Lee Jeong-ja. The book is composed of these fragmented memories, along with testimonies from those around her, re-edited into an imagined conversation with Lee Jeong-ja.
왜 나 못본척 했어요?
2022, 마른 종이, 11×15×7cm, 11×25×8cm
Why Did You Pretend You Didn't See Me?
2022, dried paper, 11×15×7cm, 11×25×8cm
전화번호부 비석
2022, 동, 10×10×99cm
Phone Book Headstone
2022, bronze 10×10×99cm
◇ 관련링크 link ◇
출판물 Publication: 전시도록 exhibition catalog ⌜Tactile Recall 맨질맨질하고 딱딱한 삶에 대한⌟
참여전시 related exhibitions: <마당: 마중합니다 당신을>, 2023, 수원시립미술관, 수원 Madang: Embracing You, Suwon Museum of Art, Suwon
사진: 스튜디오 수직수평, 레인보우큐브 Photos taken by Studio SUJIKSUPYUNG, Rainbowc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