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on, Sujin

늙음, 부재, 사랑




유은순



기록되지 않은/못한 연대기는 어떻게 기억할 수 있을까? 문서진은 어린 시절부터 청소년기까지 함께 살았던 할머니에 대한 기억을 몇 년간 지속해서 떠올려 보았다. 그다지 말이 많지 않았던 그는, 하루에 다섯 마디도 채 하지 않았고 생활 반경도 그다지 크지 않았다. 오래된 친구를 만나기 위해 버스를 몇 번이나 갈아타고 찾아간 적 외에는 집안의 공간이 전부인냥 대부분을 집에서 보냈다. 때때로 어린 서진이 보기에 알 수 없는 행동을 하며, 잔잔하게 하루하루를 머물렀다. “내가 죽어야지”라는 말을 달고 살았던 할머니는 ‘살아낼 시간’보다 ‘살아낸 시간’■ 이 더 많았다. 친척분들에게 할머니 의 젊은 시절을 물어보아도 제대로 된 사실을 확인하기 어려웠고, 어떤 것은 짐작에 그쳤다. 
작가는 “바람 빠진 풍선” 같은 그의 신체와 푸릇하게 자라나는 자신의 신체와의 격차를 느끼고 늙어감을 감각하는 혼란스러움을 떠올린다. 딱딱한 뒤꿈치는, 거칠거칠한 손바닥은, 팔꿈치 위의 주름은 몸이 매 순간 성실하게 겪은 시간의 흔적이었다. 오백 원짜리 동전과 십 원짜리 동전을 헷갈린다거나, 한쪽으로 기울어진 어깨와 굽은 허리, 어느덧 네 개만 남은 치아 등은 까마득한 어린 시절, 자신을 향해 방긋 웃어주던 활기찬 할머니와 대조되며 서글픈 감정과 자신 앞의 존재가 언제든지 죽을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서늘한 감정을 동시에 선사한다. 생각해보면 애정은 말에서보다 반복된 행동에서 나왔다. 할머니를 온전하게 독점할 수 있었던 시간, 배를 문질러 주거나 귀를 파주는 사소한 행위에서 사랑을 느낀다. 비록 사춘기 시절 잠이 많았던 그를 깨워주거나, 밥 생각이 없는 데도 계속해서 식사를 챙겨 주는 다소 귀찮게 여겨졌던 일도 있었지만 말이다. 작가는 조건 없는 애정 대신 “그리움, 미안함, 원망, 미움, 결핍과 체념에 대한 복합적인 감정”을 느낀다. 
문서진의 두 번째 개인전 «맨질맨질하고 딱딱한 삶에 대한»은 이십여 년 전 돌아가신 할머니를 오래전부터 떠올려 보며, 그에 대한 기억이 많지 않다는 사실에 기억을 그러모으며 시작되었다. 대화한 기억보다 몸으로 부대낀 추억이 더 선명했던 작가는 그가 ‘살아낸 시간’을 신체의 변화와 언어 습관, 반복된 행동에서 반추하며 몸적인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을 제작 한다. 작품은 관조적이기보다는 참여적이고, 관객의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면서 면과 면, 몸과 몸이 맞닿는 감각을 일깨운다. 
전시장인 레인보우큐브는 과거 한 할머니가 오랫동안 살았던 집을 개조한 곳이다. 오래된 철문을 들어서면 마당에는 낡은 절구, 버려진 장독대, 오래된 서랍장이 보인다. 다른 한켠에는 문서진의 <전화번호부 비석>이 서 있다. 비석이 고인을 기억하는 기록의 한 방식이라면 거의 아무것도 남기지 않고 돌아가신 할머니를 기릴 수 있는 문구가 무엇인지 작가는 고민하다, 그의 손때가 묻은 전화번호부 한 장을 동에 새긴다. 
전화번호부는 거의 유일한 그의 기록물이다. 일정한 시기마다 업데이트된 연락처는 새로 추가되지 않고 그리 많지 않은 친척 연락처만이 반복된다. 이는 그가 알고 지낸 사람들의 폭을 전달해줄 뿐만 아니라 할머니의 글씨 쓰는 습관을 그대로 담는다. <전화번호부 비석>과 전화번호부에서 추출 한 글자를 금속활자로 만들어 벽에 심은 <전화번호부>는 딱딱하고 맨질맨질한 재료의 질감과 활자의 오돌토돌한 글씨를 손가락 끝으로 매만질 수 있게 만들었고, 글을 읽기보다는 촉감으로 느끼도록 유도한다. 
<그의 침묵: 그의 말>은 말이 거의 없었던 할머니가 반복해서 내뱉었던 말을 모아 할머니의 손글씨로 편집하고 이를 3D로 출력하여 물에 젖은 유산지에 형압으로 찍어낸 작품이다. “밥 먹어” “일어나라” “왜 그래, 응” “제발 좀” “내가 죽어야지” 등 단편적인 구절은 작가가 할머니에게 느낀 복합적인 감정이 또한 그에게도 내재해 있음을 확인하게 만든다. 
<그의 침묵: 죽은 사람과의 대화>는 작가의 어린 시절 기억과 할머니 주변인들로부터 수집한 하나의 이야기를 담는다. 관객은 둥글게 마감된 나무 토막 위에 힘없이 늘어진 기다란 책을 한장 한장 넘기며 할머니의 자취를 더듬는다. 책을 읽다 보면 관객은 앉은 벤치에서 시나브로 따뜻해진 온기를 느끼게 된다. 
<그의 침묵>과 <전화번호부> <전화번호부 비석> 등의 작업에서 작가 는 할머니의 글씨체를 따온다. 글씨체는 한 사람의 습관의 결과물이다. 시 몬 드 보부아르는 습관이 “표상으로서가 아니라 태도와 행동의 형태로 우리가 경험한 과거”■■ 라고 말한다. 습관은 오랜 시간 서서히 쌓이면서 노년기에 이르러 더욱 강화된다. 할머니의 생활습관이 그대로 벤 글씨체는 그만의 개성을 드러내지만, 그럼에도 세월에 따른 힘의 약화는 거스를 수 없어서 어떤 글자는 펜의 무게 때문인지 흔들렸거나 범위를 벗어나 있고 종이의 얇은 두께도 채 압력을 가하지 못해 흔들리거나 옅게 쓰인 부분을 발견하게 된다. 
작가에게 무언가를 찍어내는 행위는 면과 면의 만남, 접촉을 의미한다. 이번 개인전은 앞서 자신의 손이 닿는 만큼 관악산의 암반을 탁본으로 찍어낸 <등반지도: 관악산 둘이서 하나되어 암장>(2016), 글씨가 양각된 원통을 만들어 천천히 굴려 나가며 시구를 해안가에 찍어 나간 <비우기: 몸으로> (2018)의 연장선에 있다. 이전에는 자신이 무언가를 찍어내는 행위적인 측면, 퍼포머로서의 역할이 두드러진다면 기획전 «걸레색»(2021, 범일운수종점Tiger1)부터 발전시킨 «맨질맨질하고 딱딱한 삶에 대한»에서는 닿고자 하는 대상을 구체화하면서 이를 관객에게 전달하는 매개자의 역할이 두드러진다. 문서진은 할머니에 대한 추억을 단순히 개인의 기억으로 남기기보다 작품을 매개하여 몸에서 몸으로 전달하고자 한다. 
레인보우큐브 공간 곳곳에 침투해 있는 사물 오브제 작품은 사용된 존재를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을 대변한다. 작가는 지금 시점의 낡은 사물이나 주름진 대상에서 그것이 살아온 역사를 되짚는다. <물질 놀이>(2013), <물길 연작>(2015-2016)에서 행했던 실험이 물질에 인공적인 힘을 가했을 때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데 관심이 있었다면, 이제는 할머니에 관한 기억을 떠올려 보던 태도를 사물에 적용하여 사물의 현재 모습을 보고 이전의 변화 과정을 상상해 보는 것으로 그 관심이 이행한다. 
비에 젖은 아스팔트 길에서 몇 번이고 지나가는 자동차에 바스러진 낙엽을 주운 <나는 당신의 딸>, 햇빛에 바삭바삭 말라가는 재생지를 모은 <다음 생에는 친구로 만나요>, 닳고 닳아버린 슬리퍼의 뒤축을 드러내는 <나는 당신의 무덤이야>와 같이 작가는 여전히 무언가의 변화 과정에 관심이 있지만 현재에서 순차적으로 흐르는 시간이 아니라, 현재에서 과거를 거슬러 올라가는 시간을 보는 데 흥미를 가진다. 작가는 대상의 질감, 사용새, 촉감 등을 시선으로 훑으며 그것의 역사를 거슬러 오른다. 이는 할머니를 이해하려는 태도가 사물로 확장된 것이다. 작품의 제목은 사물 혹은 돌아가신 할머니에게 이제야 조심스레 건네보는 말처럼 느껴진다. 
삶은 몸에 새겨진다. 몸은 시간의 흔적을 가장 성실하게 담는 그릇이고 늙음이란 세월의 변화를 몸에 새기는 과정이다. 자신의 것이랄 것을 거의 아무것도 남기지 않았던 할머니의 삶을 작가가 기억해내는 방식은 글로 쓴 기록이기보다 그의 총체적 삶이 깃든 몸과 부대낌이며, 끝내는 사랑으로 기억될 찌꺼기 같은 감정들이다. 



■ 장 아메리, 『늙어감에 대하여』, 김희상 옮김, 돌베개,  2014. p.23.

■ ■  시몬 드 보부아르, 『노년』, 홍상희 박혜영 옮김, 책세상. 2022. p.651.

Aging, Absence, Love




Eunsoon Yoo


How can we remember the chronicles  that have not or could not be recorded?  Over the years, Sujin Moon has been reminiscing about her grandmother, who had lived with her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A taciturn person, Moon’s grandmother rarely spoke more than five sentences and occupied a limited space. Other than transferring buses to meet an old friend, she spent most of her time in her house, as if it was the only existing space to her. At times, she was incomprehensible to young Sujin and stayed in tranquility. Her grandmother, whose habit was to say, “I should die,” had more “lived time- temps vécu” than“time to live.”■ It was difficult for Moon to identify the facts about her grandmother’s younger days, even after asking her relatives about it, and some questions merely ended in speculation.

The artist recalls the mixed emotions caused by the sensation of aging, of feeling the contrast between her grandmother’s body, which was like a “deflated balloon,” and her verdant and growing body. Her grandmother’s hardened heels, rough palms, and wrinkles above her elbows were all vestiges of time that her body had faithfully lived every moment. The grandmother’s confusion with 500 won coins and 10 won coins, her lopsided shoulder and bent back, and her remaining four teeth were in deep contrast with the lively image of her smiles during her childhood, which left Moon with both sorrow and the shuddering feeling that the person in front of her can die any time. Thinking back, affection always came from repeated actions rather than words. Moon felt loved when she dominated her grandmother’s time and from her grandmother’s small gestures of rubbing her belly and cleaning her ears. Although there were moments when she was annoyed, like when her grandmother woke her up when she needed more sleep as a teenager or when her grandmother kept making her food even when she did not feel like eating. Instead of unconditional love, the artist feels a “mixture of longing, regret, resentment, hatred, want, and resignation.”
Sujin Moon’s second solo exhibition, Tactile Recall, began as she recalled the memories of her grandmother, who passed away about two decades ago, and realized that she does not have memories of her. The artist, who had more tactile than verbal memories of her grandmother, created works that evoke bodily sensations by reflecting on the “lived time” through physical changes, speech habits, and repeated actions. The works are more participative than observational, encouraging viewers to move and evoke the senses of touching between surfaces and bodies.
The exhibition space, Rainbowcube, was created by renovating a house lived by an old lady for a long time. Once you enter the old iron door, the front yard greets you with an aged mortar, abandoned jars, and a time-worn drawer. At the other corner stands Sujin Moon’s Phone Book Headstone. If a headstone is one way to record and remember those who passed away, the artist pondered on how to remember her grandmother, who left nearly nothing, then engraved a page of her well-thumbed phone book on bronze.
The phone book is nearly the only existing written record of her grandmother. Although the numbers had been updated regularly, no new numbers were added, and a handful of her relatives’ phone numbers were repeated. This not only showed the range of people her grandmother knew but also her writing habits. Phone Book, the installed metal type on the wall composed of letters extracted from her grandmother’s phonebook, and Phone Book Headstone use hard and rough materials so that the viewers can run over their fingertips and feel the texture and jaggedness of the type, thereby encouraging them to feel the text rather than reading it.
Her Silence: Spoken Words is a collection of repeated words spoken by the artist’s tight-lipped grandmother, which was edited with her handwriting, printed in 3D, and pressed onto water-soaked parchment paper. Short phrases, including “Eat,” “Wake up,” “What’s the matter, huh?” “Please,” and “I should die.” show how the complex feeling that the artist felt toward her grandmother was mutual.
Her Silence: Dialog with the Dead is also based on stories the artist collected from her childhood memories and her grandmother’s acquaintances. The viewers turn the pages of a long book that hangs limply on a rounded wood block in search of the grandmother’s memories. As the viewers continue reading the book, they gradually feel the warmth from the bench they are sitting on.
The artist uses her grandmother’s handwriting in Her Silence, Phone Book, and Phone Book Headstone. One’s handwriting is a product of a person’s habits. Simone de Beauvoir says that “habit is the past in so far as we do not re-present it but live it in the shape of attitudes and forms of behavior.”■■ Habits are built up gradual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only to be reinforced in later life. The artist’s grandmother’s handwriting, which embodies her daily habits, displayed her unique personality but failed to resist the time as her grip weakened. Some letters are wobbly and out of range, perhaps due to the pen’s weight, and some are faint and wavering as she was unable to put pressure onto the thin paper.
To the artist, printing something signifies contact, that is, the meeting of surfaces. This body of work is on the continuation of her previous works, Climbing Route: “Two Become One”,Gwan-ak Mt. (2016), in which the artist made a rubbing of the rocks from Mt.Gwanak as far as she could reach and Breaking Words: Through Body (2018), where the artist created a cylinder with embossed letters that she slowly rolled through the coast. If her previous works emphasized the artist’s role as a performer by printing something, Sujin Moon puts emphasis on her role as a mediator who specifies her desired subject and delivers it to her viewers in Tactile Recall, which began from a group exhibition Geolesaek (Rag Color) (2021, Art Space Tiger 1). Rather than leaving her memories with her grandmother in her personal memory trove, Sujin Moon attempts to deliver them through her works from one body to another.
The object works that infiltrate each corner of Rainbowcube represent the artist’s perspective toward used things. The artist retraces the history of the objects through their old and wrinkled form. Whereas the experiments conducted in Material Play (2013) and Waterway (2015-2016) focused on how objects change with artificial force, the artist’s current interest is to apply her attitude of recalling her memories with her grandmother to take a look at the current forms of objects and imagining the changes they might have experienced.
As can be found in I Am Your Daughter, which is a fallen leaf crushed by passing vehicles on a rain-soaked asphalt road, See You Again as Friends, a collection of recycled paper crisping in the sun, I Am the Place Where You Are Buried, which display the heels of worn slippers, the artist is still interested in the change of objects but is more interested in seeing the time flowing from the present to the past, instead of its sequential flow. The artist scans the objects’ texture, usage, and touch and retraces their history. Her attitude to understand her grandmother has been expanded to understanding objects. The titles of the works seem to be the artist’s careful yet belated messages to the objects or perhaps her late grandmother.
Life leaves traces in one’s body. A body is the most faithful vessel of time, and aging is a process of engraving thechange of time into one’s body. The artist remembers her grandmother’s life, who left nearly nothing to call her own, not through written records but through her body and touches that embodied her life and the remnant emotions that will eventually be remembered as love.




■ Jean Améry, On Aging: Revolt and Resignation, Translated by Huisang Kim, Dolbegae, 2014, p. 23.


■■ Simone de Beauvoir, The Coming of Age, Translated by Patrick O'Brian, Warner Paperback Library, 1973, p. 691. 

Using Format